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내가 마기꾼인지 아닌지 궁금하세요!?? 마기꾼 뜻 알고 판단해보세요~!

by 바넬로피_ 2023. 11. 27.

안녕하세요! 요즘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들을 뭐라고 부르는지 들어보셨나요?

바로 ' 호모 마스쿠루스 '입니다. 우리는 호모 에렉투스, 호모 사피엔스를 거쳐 진화를 해온 것에서 따온 용어인데요.

요즘은 사실 코로나시국도 끝나가 마스크를 꼭 착용해야 하지 않지만, 개인 컨디션이나 요즘 날씨상 마스크를

특히나 밖에서는 착용하시는 분들이 더러 보이는것이 사실입니다.

그럼 코로나시국에 탄생한 대표적인 신조어' 마기꾼 ' 뜻을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마기꾼 뜻 무슨의미일까요 ? "


마기꾼은 두 단어가 합쳐진 것으로 [ 마스크 ] + [ 사기꾼 ]의 조합어입니다. 마스크를 썼을 때의 외모와 벗었을 때의

외모차이가 심한 것을 의미하는 말로 들었을 때 썩 기분 좋은 말은 아닌데요. 우리에게 익숙한 비슷한 단어로는

셀기꾼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셀기꾼은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 자신의 셀카와 실물이 너무 차이가 심해서 셀카로

사기를 치는 사기꾼이라는 의미죠.

마스크를 쓰게 되면 하관은 보이지 않고 눈, 눈썹 그리고 이마만 보이기 때문에 상대방은 보이는 부분에 의지해서

나머지 부분을 최상의 이미지로 상상하는 경우가 많고 이때, 마스크를 벗어 자신이 상상한 만큼의 하관이미지가

아니라면 사기당한 것 같다라고 느낍니다. 마기꾼들이 일부러 사기를 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마기꾼 피해자가

생기는 웃픈 상황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외모에서 하관이 얼마나 중요한 지 알 수 있습니다. 물건이나 손으로

하관을 안 보이게 한 뒤에 얼굴을 노출하고 다시 가렸던 부분을 드러내며 반전을 유도하는 쇼킹 챌린지도 있었죠.

이것이 바로 ' 하관의 중요성 '입니다. 예전부터 사실 얼굴의 60%는 눈이 먹고 들어간다라고 했지만 눈만 이쁘면얼굴이 다 이쁜 것은 아니라는 것의 반증인 셈이죠.

 

 

 

 

요즘은 이런 마기꾼이라는 단어를 본인 스스로에게 겨냥하여 유쾌하게 풀어내는 젊은 세대들도 많습니다.스스로 마스크를 착용하고 셀카를 찍은 뒤에 #마기꾼 태그를 달아 웃음을 자아내는 건데요, 특히 얼굴에 난수염자국이나 여드름 흉터, 뾰루지, 상처등을 마스크로 가리고 스스로 ' 나는 마기꾼이다 ' 하고 다니는 행동도유행처럼 번져나갔습니다.

또 마스크 자체가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승화된 사례도 있습니다. 마스크를 썼을 때 보이는 신비로움과약간의 시크함, 또 얼굴이 아직 준비되지 않았을 때 살짝 가려주면 훨씬 난 것은 사실이니까요. 화장을 하지 않아도면도를 하지 않아도 출근할 수 있어 마스크 착용이 오히려 편하다는 사람들도 많고, 또 오히려 마스 클 착용함으로써외모가 업그레이드되어 보인다고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직장에서는 불필요한 표정관리를 신경 쓰지 않아편하다가는 제보들도 속속 전달되고 있기도 하고요.

 

사실 코로나시국 이전에는 몸이 아프거나 본의 아니게 신분을 감춰야 할 때 마스크를 쓰는 경우가 많았었는데요, 이제는 다양한 패션과 뷰티 분야에서 마스크를 활용하여 마케팅하는 경우도 잦습니다.

재미있는 점은 마스크의 이점이있는 만큼 마스크를 벗고 사람을 만나게 되었을 때 마치 민낯을 들킨 것처럼 수치스럽게 느끼는 상황들도 생기게 되고모임에서 마스크를 쓰고 만나다가 마스크를 벗자 반응이 달라지는 경우, 혹은 시선이 주목되는 것이 부담스러워마스크를 쓰는 것이 더욱 좋은 경우들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 마기꾼 파생단어 "

상상했던 것보다 못 미쳐 사기당한 기분을 들게 하는 마기꾼이라는 단어가 있다면 이와 반대로 마스크를 벗으니상상했던 것보다 외모가 좋아 보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우리는 이들을 " 마해자 "라고 부르는데요, [ 마스크 ] + [ 피해자 ]의 두 단어 조합으로 마스크를 껴서 외모가 다운그레이드되어 보이는 피해를 입었다.라는뜻입니다. 주로 수려한 외모를 가진 사람들일수록 마해자인 경우가 많죠.

 

 

 

 

오늘은 저와 함께 마기꾼 뜻과 마해자 뜻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지금은 사실 거리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든, 말든사람들이 크게 신경 쓰지 않을 정도로 마스크는 우리에게 친숙한 아이템이 되었습니다. 한창 코로나시국 때강제적으로 마스크를 써야 했던 시절이 저 멀리 옛날로 느껴지는 2023년 끝자락. 여러분들은 마기꾼이신가요?마해자이신가요? 저는 마해자였기를 바라면서.. 이만 글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